박현우의 영등포 역사정치

■ 여의도시범아파트의 건설, 홍보, 분양을 직접 진두지휘한 ‘두더지 시장’ 양택식

와우시민아파트 붕괴사고로 1970년 4월 16일 사표가 수리된 김현옥(金玄玉, 1926-1997) 서울특별시장의 후임으로 1966년 제3대 철도청장과 제4대 부산직할시 부시장, 1967년 제11대 경상북도지사를 역임한 양택식(梁鐸植, 1924-2012) 제15대 서울특별시장이 1970년 4월 16일 취임한다(매일경제 1970/4/17, 1면). 일명 “두더지”, “일요일 없는 컴퓨터”라는 별명을 갖고 있던 양택식은 “믿을 수 없는 엄청난 일을 앞장서서 이룩한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는다(김광중 2015, 249).

1970년 민원신고센터 민원전화 설치를 한 양택식 서울특별시장의 모습 (자료출처: 서울역사아카이브 서울시정사진)
1970년 민원신고센터 민원전화 설치를 한 양택식 서울특별시장의 모습 (자료출처: 서울역사아카이브 서울시정사진)

그는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기념식의 참극인 육영수(陸英修, 1925-1974) 여사 피격사건의 책임을 지고 같은 해 9월 2일 시장직에서 물러나기까지 약 4년 4개월여 재임기간 동안 신시가지 개발로 서울의 밑그림을 그리면서 (1) 김현옥 전임 시장이 시작한 ‘여의도’와 ‘영동1지구’의 도시개발 촉진과 (2) 자신이 시작한 잠실지역 도시개발 기반 구축에 몰두한다(서울역사박물관 2015, 245).
양택식이 당면한 최우선 과제는 동시다발적 건설사업으로 빨간불이 켜진 서울시의 재정건전성을 회복하는 일로 이를 위해 그는 (1) 조성된 여의도 택지를 매각하고, (2) 이곳에 고급아파트 단지를 건립하여 분양할 것을 지시한다(서울역사박물관 2020, 48). 실제로 양택식은 여의도시범아파트의 건설, 홍보, 분양을 직접 진두지휘한다(손정목 2003, 77; 서울역사박물관 2015, 71).

조선일보 1970년 8월 20일자 3면 하단에 실린 서울특별시장 양택식 명의의 「서울특별시 공고 제169호」로 여의도 개발의 일환에서 민자로 건설하는 여의도시범아파트 입주자 모집공고. 1970년 5월 서울대교[마포대교] 완공으로 시청까지 10~15분이 걸리는 입지조건에 “정성어린 새마을 격조높은 「아파트」”라는 슬로건으로 “건강을 얻는 곳, 시간을 얻는 곳, 부귀를 얻는 곳”의 문구와 함께 “갖는 자랑 사는 즐거움 꿈이 있는 「마이홈」”이 눈에 띈다.
조선일보 1970년 8월 20일자 3면 하단에 실린 서울특별시장 양택식 명의의 「서울특별시 공고 제169호」로 여의도 개발의 일환에서 민자로 건설하는 여의도시범아파트 입주자 모집공고. 1970년 5월 서울대교[마포대교] 완공으로 시청까지 10~15분이 걸리는 입지조건에 “정성어린 새마을 격조높은 「아파트」”라는 슬로건으로 “건강을 얻는 곳, 시간을 얻는 곳, 부귀를 얻는 곳”의 문구와 함께 “갖는 자랑 사는 즐거움 꿈이 있는 「마이홈」”이 눈에 띈다.

그 결과, 서울시는 입주자들로부터 총 공사비 60억 2,700만 원을 공모하여 착공 1년 만인 1971년 10월 30일 완공한 지상 12층, 24개 동, 1,596세대의 여의도시범아파트는 한국 최초로 (1) 지하공동구 건설을 통한 냉・온수, 난방, 전기, 전화 등을 시설하고, (2) 아파트 내부에 12인승 엘리베이터 24대와 에스컬레이터 2대를 설치한 “최대규모의 최대시설”로 현대식 고급아파트의 전형(典型)이자 단지 건설의 시범(示範)이 된다(서울역사편찬원. 2021, 193-4; 서울역사박물관 2014, 38).

1970년 9월 25일 여의도 D7블럭 33,619평 대지 위에 열린 여의도시범아파트 기공식. (자료출처: 서울역사아카이브 서울시정사진)
1970년 9월 25일 여의도 D7블럭 33,619평 대지 위에 열린 여의도시범아파트 기공식. (자료출처: 서울역사아카이브 서울시정사진)

 

서울시는 김현옥 전임 시장이 건축가 김수근(金壽根, 1931-1986)에게 1968년 1월 의뢰한 「여의도 도시계획안」을 홍익대학교 박병주(朴炳柱, 1925-2015) 교수에게 새롭게 의뢰하여 (1) 20만 평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던 상업업무지구를 16만 평으로 축소하고, (2) 그 대신 16만 평으로 예정되어 있던 주거지역을 19만 평으로 늘려서 이를 고밀도・고층으로 개발하는 「여의도 종합개발계획」을 1971년 수정・공개한다(서울역사박물관 2020, 46-8). 여기서 여의도시범아파트는 「여의도 종합개발계획」의 ‘선구적 사업’이자 ‘전략적 수단’으로서 선도적 역할을 담당한다(서울역사편찬원 2021, 308; 서울特別市 永登浦區 1991, 223).

조선일보 1971년 7월 28일자 2면 하단에 실린 여의도시범아파트 아케이드 분양 공고. 서울특별시장 명의의 「서울특별시 공고 제150호」로 (1) “격조높은 신흥도시 여의도심장부에 위치”하며 (2) “냉, 난방시설, 에스카레이다[에스컬레이터], 특수소화장치(스프링크러[스프링클러]) 등 초현대식 설비와 완전한 내장시공”뿐만 아니라 (3) “합리적 업종 조정으로 초심자도 경영이 용이”하다고 알리고 있다.
조선일보 1971년 7월 28일자 2면 하단에 실린 여의도시범아파트 아케이드 분양 공고. 서울특별시장 명의의 「서울특별시 공고 제150호」로 (1) “격조높은 신흥도시 여의도심장부에 위치”하며 (2) “냉, 난방시설, 에스카레이다[에스컬레이터], 특수소화장치(스프링크러[스프링클러]) 등 초현대식 설비와 완전한 내장시공”뿐만 아니라 (3) “합리적 업종 조정으로 초심자도 경영이 용이”하다고 알리고 있다.

 

학교시설과 함께 여의도시범아파트 24개 동을 동시에 건립하여 중산층 유치 전략을 추동한 양택식은 여의도 개발 촉진책으로 (1) 1973년에는 서울대교[마포대교]를 가설(架設)하고, (2) 1974년에는 한국방송공사(KBS) 등 3개의 방송국, 증권센터, 전국경제인연합회 등의 여의도 이전을 추진하면서 여의도 택지매각 및 개발을 순조롭게 진행한다(서울역사박물관 2015, 245).

여의도시범아파트 ④
여의도 서재 “관수재” 주인, 시인 구상

■ 시인 구상의 여의도시범아파트 서실(書室) 관수재(觀水齋)

▲ (자료출처: 구상선생기념사업회 홈페이지)
▲ (자료출처: 구상선생기념사업회 홈페이지)

새하얀 모시옷 삼베적삼 정갈히 차려입고 여의도시범아파트 등나무 벤치에 앉아 생각에 잠겨있던 시인 구상(具常, 요한 세례자, 1919-2004)을 회억(回憶)한다. 우리의 세속적 삶을 “영원한 본향인 천국에 들기 전에 사는 찬류인생(竄流人生)”으로 본 가톨릭 신자 구상은 수사(修士)나 선승(禪僧)과 같은 삶을 추구하면서도 늘 존재(Sein)와 당위(Sollen)의 괴리감 사이에서 스스로를 책망하면서 윤리적, 신앙적 엄격성과 진실성을 추구했다(김봉군 2002, 298).
이러한 구상 시(詩)의 산실(産室)은 수 천 세대가 모여 사는 아파트 단지(團地)(서울 여의도 시범아파트 17동 46호)속 30평 공간에서 비롯한다(조선일보 1977/6/8, 5면). 그는 문인(文人)으로서 ‘집필사무실시대’를 여의도시범아파트에서 활짝 연다(동아일보 1991/12/7, 29면). 아파트 생활이 일견 “닭장 안에서 사는 것” 같다면서도 그는 매일 오후 ‘닭장’에서 벗어나 ‘넓은 공간’인 한강변으로 나와 윤중제(輪中堤)를 반바퀴 가량 소요(逍遙)하며 “자기에게 은혜로 베풀어진 것의 소중함”과 오롯이 마주한다(조선일보 1977/6/8, 5면).

▲ 시인 구상이 애용하던 여의도시범아파트 등나무 벤치 전경
▲ 시인 구상이 애용하던 여의도시범아파트 등나무 벤치 전경

구상의 서재명은 관수재(觀水齋). 비록 방의 크기는 작았지만, 집필하는 책상 바로 앞에 나 있는 작은 남향창의 햇살 무리(群)와 그것들이 책상 둘레에 서리게 하는 눈부신 무리(暈)가 그의 글에 언령(言靈)의 기운으로 깃들게 느껴졌다는 전언이다(성찬경 2002, 374). 그가 남긴 시(詩) ‘한강원경’을 통해 그가 머물던 시간과 공간을 마주한다.
그는 장성한 차남 성(1952-1987)을 폐결핵으로, 장남 홍(1948-1997)을 폐렴으로 차례로 잃고, 1993년 아내를 떠나보낸 후 2004년 5월 영면한다(배봉한 2022, 12-6). 그의 사후(死後)인 2007년 2월, 문화관광부는 「사단법인 구상선생기념사업회」를 인가한다. 영등포구는 2009년 “노벨문학상 후보에 두 번이나 오른 세계적 문인으로 타계하실 때까지 30년 넘게 영등포구에서 거주하면서 활동하신 구상(具常)시인의 높은 작가정신을 기리고, 대한민국 문학의 발전은 물론 우리나라 문인의 노벨문학상 수상의 디딤돌을 마련하기 위하여 구상(具常)시인 기념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구상(具常)시인 기념사업 조례」를 제정한다.

▲ 여의도 한강공원 진성나루 앞 구상 선생 시비. 조선일보 1994년 11월 10일 자 보도에 따르면, 구상 시비 제막식은 1994년 11월 9일 오후 한강고수부지에서 열렸다. 참석자로는 왼쪽부터 강영훈 적십자사총재, 김수환 추기경, 김문중 시사랑어머니회 회장, 유달영 서울대 명예교수, 구자춘 의원(민자), 구상 시인.
▲ 여의도 한강공원 진성나루 앞 구상 선생 시비. 조선일보 1994년 11월 10일 자 보도에 따르면, 구상 시비 제막식은 1994년 11월 9일 오후 한강고수부지에서 열렸다. 참석자로는 왼쪽부터 강영훈 적십자사총재, 김수환 추기경, 김문중 시사랑어머니회 회장, 유달영 서울대 명예교수, 구자춘 의원(민자), 구상 시인.
▲ (사)구상선생기념사업회・영등포구가 2022년 10월 29일(토) 09:00~12:00 여의도 한강공원 구상선생 시비 주변 여의도 선착장 진성나루 앞에서 고등학생과 일반일을 대상으로 개최한  모습
▲ (사)구상선생기념사업회・영등포구가 2022년 10월 29일(토) 09:00~12:00 여의도 한강공원 구상선생 시비 주변 여의도 선착장 진성나루 앞에서 고등학생과 일반일을 대상으로 개최한 모습

<참고문헌>

서울역사아카이브 https://museum.seoul.go.kr/archive
영등포구청 https://www.ydp.go.kr/
구상선생기념사업회 https://www.kusang.org/
『조선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

구상. 2002. 『한국대표시인101인선집: 구상』. 서울: 문학사상사.
권이철. 2016. “중산층 아파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
김광중. 2015. “양택식시장 후반기의 서울시정.” 『『두더지 시장 양택식 Ⅱ: 1973-1974』, 240-251.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김봉군. 2002. “현존(現存)과 영원(永遠)의 조응(照應): 구상(具常)의 시문학(詩文學).” 『한국대표시인101인선집: 구상』, 293-304, 서울: 문학사상사.
박철수. 2013. 『아파트: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 서울: 마티.
박해천. 2011. 『콘크리트 유토피아』. 서울: 자음과모음.
배봉한. 2022. “나는 한평생, 내가 나를 속이며 살아왔다.” 『홀로와 더불어』 2022가을호. 서울: 구상선생기념사업회.
서울역사박물관 전시과. 2016. 『불도저시장 김현옥: 1966-1970』.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전시과.
서울역사박물관 전시과. 2021. 『여의도: 모래섬, 비행장, 빌딩숲』.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전시과.
서울역사박물관. 2014. 『두더지 시장 양택식 Ⅰ: 1970-1972』.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14. 『두더지 시장 양택식 Ⅱ: 1973-1974』.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2020. 『여의도: 방송과 금융의 중심지』.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편찬원. 2021. 『서울도시계획사: 제2권 광복~1970년대의 도시계획』. 서울: 서울역사편찬원.
서울特別市 永登浦區. 1991. 『永登浦區誌』. 서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청 홍보미디어과. 2022. 『영등포구지: 제1권 역사와 구민의 삶』. 서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청 홍보미디어과.
성찬경. 2002. “구상의 문학과 인간: 실존적 전일성의 추구.” 『구상문학총서 제1권: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373-387, 서울: 홍성사.
손정목. 1999. 『두더지 시장 양택식』. 서울: 양택식전기간행위원회.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 2』. 파주: 한울엠플러스.
손정목. 2005. 『한국 도시 60년의 이야기 2』. 파주: 한울.
채현일. 2022. 『탁트인 영등포 민선7기 4년의 기록: 구청장의 일』. 서울: 더봄.
최호권. 2022. 『최호권, 지방자치의 꿈: 공직 30년의 신념과 철학』. 서울: 이지출판.

저작권자 © 영등포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